제6장 경쟁우위와 경쟁전략
1.경쟁전략의 주요 요소(3C)
- 산업구조 및 경쟁의 특성과 소비자 수요 이해
- 자사의 경영자원과 핵심역량, 기업문화, 리더십을 분석
- 경쟁사의 경쟁전략과 경쟁우위 파악
2.산업의 주요 성공요인(KSF)
-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제공 : 소비자들을 구매자의 힘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 산업이 존재하는 근본적인 이유로 보는 것임
- 경쟁에서 승리 : 산업의 경쟁방식을 이해하는 것임
3.경쟁우위의 창출 및 유지
- 경쟁우위의 조건
- 경영자원은 다른 기업들이 보유하지 못하는 희소한 자원
- 경영자원과 핵심역량이 그 산업에 적합한 것(예 : IBM과 서버시장)
- 경쟁우위의 창출
- 외부환경의 변화 :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 외부환경에 더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은 기업이 경쟁우위를 창출하는데 아주 중요한 핵심역량임(의류산업의 Benetton과 Zara)
- 기술혁신 : 경쟁우위는 기업 내부의 혁신으로부터 발생(Apple의 iPod와 iTunes, Nike 운동화). Schumpeter는 혁신과정을 ‘창조적인 파괴의 과정‘으로 보았음
♦ 환경변화에 대응요인
- 정보의 획득 : Wal Mart의 MIS시스템
- 조직차원의 유연성 : Time-based 경쟁우위(Honda, Toyota, 삼성전자)
- 경쟁우위의 유지
- 지속성(Durability) : 브랜드 제품들은 오랫동안 소비자들에게서 신뢰를 쌓았기 때문에 신규기업들의 진입을 어렵게 만듬
- 획득가능성(Resource Mobility) : 경쟁기업의 경쟁우위가 정확히 어디에서부터 비롯되는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양의 정보와 시간이 필요함(하이트 맥주가 지하 250m의 암반수를 사용한다고 광고)
- 모방가능성(Resource Replicability) : 브랜드 이미지와 조직에 기초한 핵심능력은 쉽게 모방할 수 없음(많은 벤처기업들이 도산한 주요 이유는 이들 인터넷 벤처기업들의 사업모형이 쉽게 모방가능하다는 사실임)
♦ Southwest 항공사의 액티비티 시스템
- 중소도시간의 직항편에 집중하여 다른 항공사와의 연계서비스나 수화물 연결서비스도 제공하지 않으며 소비자에게 저렴한 항공요금과 잦은 출발시간을 제공함
- 가치사슬 구성요소간 상호관련성이 높을수록 이에 기반한 경쟁우위를 모방하는 것은 어려움
- 경쟁우위 방어전략 : First Mover’s Advantage(최초진입자의 우위), Isolating Mechanisms(따돌리는 과정)
- 높은 수익율을 감춤
- 경쟁우위를 모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커야 함 : 진입장벽(Entry Barrier)
-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성공요인을 이해해야 함 : 인과관계에서의 모호함(Causal Ambiguity). Wal mart 사례
- 모방에 필요한 경영자원을 확보해야 함
[ CASE ] 螳螂拒轍
[ 혼다와 야마하의 모터사이클 전쟁 ]
1)모터사이클 전쟁과정
- 1950년대 초반 일본의 모터사이클 산업은 50개가 넘는 경쟁자들이 치열하게 경쟁
- 1969년 Honda, Yaamha, Suzuki, Kawasaki 4개 업체로 줄어듬
- 1960년대 후반 혼다의 일본시장 점유율 65%를 차지하였으며 야마하는 10% 정도였음
- 1975년 혼다는 자동차산업으로 다각화하여 모터사이클보다 자동차산업에서 더 많을 수익을 얻음
- 1981년 시장점유율이 혼다는 38%로 감소하고 야마하는 37%까지 증가함
- 1981년 8월 야마하는 연간 100만대 생산능력 신공장 건설계획 발표하고 18개의 신모델 출시함
- 1982년 1월 혼다는 반격을 시작하여 가격을 내리고 판촉비용과 매장재고 증가시킴
- 1983년 1월 야마하의 항복선언(혼다의 시장점유율은 47%로 증가하고 야마하는 27%로 감소함)
- 1983년 4월 야마하는 후반기 손실이 40억엔임을 발표하고 배당은 80% 삭감되었음
2)야마하의 오판
- 야마하는 성장잠재력을 가진 다른 사업분야가 없었기 때문에 막대한 투자를 모터사이클 사업에 하면서 내부자금보다 외부차입금으로 투자비를 충당함
- 혼다의 신모델 출시전략은 야마하에게 가격인하만큼이나 치명적인 것이었음. 시장 추종자들은 주어진 시간내에 필요한 연구개발비를 충당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, 늘어나는 구형제품의 재고를 방출하기 위해 엄청난 가격인하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임
- 야마하의 모터사이클 매출은 50% 정도로 급격히 감소하고 팔리지 않는 재고량은 일년 매출액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일본 모터사이클산업 전체 재고량의 절반을 차지함
0개의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