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. PLATFORM STRATEGY
1) 플랫폼의 파워
- 긍정적인 네트워크 효과 : 잘 관리되고 있는 대형 플랫폼 커뮤니티가 각 플랫폼 사용자를 위해 상당한 가치를 생산해 내는 능력
- 규모의 수요경제 : 소셜 네트워크의 효율성, 수요결집, 앱 개발, 기타 네트워크가 크면 클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가치를 가져다 주는 현상
- 양면 네트워크 효과 : 우버의 사례는 탑승객이 운전자를 끌어들이고, 운전자는 탑승객을 끌어 들임(데이비드 삭스의 냅킨 스케치)
2)파괴적 혁신
- 유통채널(파이프라인)에 대해 두가지 중요한 경제적 우위
– 생산과 유통의 한계수익과 한계비용에 있어서 우위
– 플랫폼의 빠른 확장성은 네트워크 효과에 의해 더욱 빛을 발함
- 플랫폼이 주도하는 3가지 혁신
– 자산분리 : 자산의 소유권과 자산의 생성가치를 분리
– 재중개화 : 재중개라는 새로운 형태의 중개인 탄생
– 시장통합 : 지역별, 분야별로 나뉜 시장전체를 통합
3) 수익창출 방법
- 거래수수료 부과, 커뮤니티 접근에 대한 수수료 부과
- 접근성 강화에 따른 수수료 부과, 큐레이션 강화에 따른 수수료 부과
4) 프로토콜 경제가 넥스트 경제 모델
– “현재 경제 모델을 지배하고 있는 비즈니스는 모두 플랫폼 모델입니다. 하지만 플랫폼 경제 모델이 비싼 수수료와 데이터 독식, 폐쇄적인 비즈니스 환경 등 각종 한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. 블록체인 기반 프로토콜 경제는 이 플랫폼 경제의 기술적 기반과 비즈니스 모델에서 불거진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힌트를 가지고 있습니다.”
–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동영상 서비스로 개막한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컨퍼런스 ‘코리아블록체인위크(Korea Blockchain Week, KBW) 2020’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.
[ CASE ] 破壁飛去
[ 플랫폼 사례 ]
0개의 댓글